들어가는 글 vscode remote development 는 ssh 로 연결해서 작업이 가능하다 이걸 위해서는 vscode-server 라는 것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게 업데이트가 자주 이루어진다 업데이트가 발생하면 그에 맞춰서 내쪽에서도 설치를 해줘야함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설치를 받을 때 네트워크 문제? 로 추정되는게 있어서 다운로드 속도가 너무 느림 10kb 이렇게 받아대니깐 너무 답답해서 직접 다운받고 옮기는게 빠름 내용 1.downloading with wget 에서 너무 오래 걸린다 싶을 때 -> .vscode-server/bin/{commit_id} 에 접근 -> 다운로드 용량이 얼마나 되었는지 확인 (대략 15mb) 근처여야 함 2.다운로드는 된 것 같은데 waiting for .. tar...
금붕어마냥 자주 까먹어서 그냥 정리해놓고 보려고 한다 얼마전부터 비번 쓰는 게 모두 토큰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그것만 적용해주면 된다 우선 private repo 에 필요한 것은 2개로 정리할 수 있다 1. 내 아이디 2. 발급해둔 토큰 clone은 간단하다 git clone "https://gitub.com/{레포 주소}" 로 클론 시도 Username For "https://github.com": {내 깃허브 아이디} Password For "https://github.com": {내 깃허브 토큰} add remote 도 간단하다 remote url을 다음과 같이 추가하자 "https://{내 깃허브 아이디}:{내 깃허브 토큰}@github.com/{레포 주소}"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파이썬
- 우선순위큐
- Til
- 프로그래머스
- Event Sourcing
- 삽질
- django test
- 코딩테스트
- SSL
- 불필요한 값 무시하기
- 힙
- 그리디
- Remote
- 이것도모르면바보
- docker-compose update
- cipher suite
- 스택
- factory_pattern
- Python
- 위상정렬
- 백준
- requests
- vscode
- Javascript
- endl을절대쓰지마
- BOJ
- jwt
- 최대한 간략화하기
- SQL
- django testcas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