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JWT 에 대한 간단한 정리 기본 지식 세션과 토큰 그리고 JWT 자동 로그인? 자동 로그인은 기본적으로 세션 혹은 토큰에 의해 이루어진다 브라우저의 Cookie 혹은 localStorage 에 session, token 등이 저장, 로그인 여부 확인에 사용 Cookie 의 경우 HTTP Request 에서 Header에 포함되니깐 서버에서 Header 값으로 확인한다 쿠키니깐 key, value, 유효기간 등이 존재하며, httpOnly를 하지 않았을` 경우 js 로 접근 가능함 따라서, 인증 관련된 쿠키들의 경우 반드시 httpOnly 등을 처리해주어야 함 localStorage 나 cookie 중 뭐가 더 낫냐에 대해서는 확실히 모르겠다. 일단 난 쿠키 사용함 httpOnly 이런거로 막기도 쉽고 ..

들어가는 글 Typescript를 쓰기 전에 그냥 node+express에서는 JWT로 사용자 인증을 하고 해당 정보를 전달할 때 req.user = decoed_user 와 같은 식으로 처리를 해주었다. 그런데 이게 TypeScript에서는 막힌다. 설명 왜냐하면 express.Request에 "user" namespace가 없기 때문이다. 이를 추가해주려면 다음의 과정이 필요하다. 1. decoded_user interface를 정의 -> 폴더 하나 파고 type 정의 후 export 2. express.Request 변경에 추가 -> 사진 참고 3. tsconfig 설정 -> typeRoots 설정 아니 이 간단한 걸 왜 못하고 시간을 날렸나? mongoose model과 JWT로 decode된 u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불필요한 값 무시하기
- 그리디
- 코딩테스트
- 최대한 간략화하기
- 위상정렬
- Remote
- django testcase
- Event Sourcing
- docker-compose update
- factory_pattern
- 이것도모르면바보
- Python
- SQL
- jwt
- Javascript
- BOJ
- 프로그래머스
- 백준
- vscode
- Til
- requests
- 삽질
- 우선순위큐
- endl을절대쓰지마
- django test
- SSL
- 파이썬
- 스택
- cipher suite
- 힙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